아티클T는 탤런트뱅크의 검증된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탤런트뱅크 바로가기

전문가로 살기 6
일정관리

어떤 사람도 365일을 똑같은 하루로 살아가기는 어렵습니다. 한참 일에 몰두하고 대단한 아웃풋을 만들어내는 시기가 있는가 하면, 그러다 어떨 때는 의욕이 떨어지고, 체력도 떨어져서 퍼포먼스에 굴곡이 지기도 합니다.

 

회사는 많은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래서 사람마다 이런 파도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이에 대처합니다. 전체 회사조직에서 각 부서의 업무능력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기도 하고, 한 부서 내에서 조직원들의 업무수행 태도 또한 시기에 따라 파도를 타게 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회사에서는 이런 오르내림이 대충 평균을 이루면서 그 회사의 능력이 되는 것입니다.

 

혼자의 힘으로 세상을 살아가겠다고 결심한 사람이라면 이런 파도를 자신이 직접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큰 회사에 다니던 시절 회사가 담당하던 역할을 이제 자기 자신이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난 1년 내내 절대 변하지 않는 태도를 가질거야’라고 결심하는 것은 그다지 권할만한 일이 아닙니다. 그렇게 하기도 어렵고, 정말로 그렇게까지 업무에만 몰두한다면 자기 자신의 건강이 망가지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즉, 파도를 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도, 절대 파도와 맞서지 않고 말입니다.

 

 

전문가로 살아가기 시작했을 때 자신을 찾아주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거리가 주어지면 감사한 마음으로 있는 힘을 다해서 열심히 하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전문영역이 확정되고, 전문성에 대해 인정을 받기 시작할 때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위해서, 그리고 자신을 믿고 일을 맡겨준 클라이언트를 위해서라도 파도타기를 시작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배분입니다. 여기서 시간배분이라 함은 단순히 업무시간의 배분만이 아니라 건강관리나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한 여가시간의 배분과 관리 또한 포함합니다.

 

 

일주일 단위의 시간표가 필요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일주일에 최소한 이틀 정도는 완전히 비워서 정말로 시급한 일이 아닌 이상은 그날만큼은 충분한 휴식을 취해줘야 합니다. 그러지 않을 경우 언젠가는 일 자체가 귀찮아지는 상황이 오게 되어 있고, 그러면 클라이언트가 의뢰하는 일의 질적수준이 하향하면서 자신을 찾는 숫자가 오히려 줄어들게 되어 있습니다.

 

어쩌면 일주일보다 더 가까이 있는 듯 하지만, 하지만 일주일 단위 시간표보다는 뒤로 밀리는 것이 바로 하루 단위 시간표입니다. 새벽에 무엇을 하고, 오전에는 무엇을 하며, 점심은 누구와 먹고, 오후에는 어떤 업무를, 그리고 저녁식사와 저녁시간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미리 결정해 놓으면 업무진행에 편리합니다.

 

앞에서 말한 일주일 단위와 하루 단위는 하나의 표로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는데, 제가 만들어 놓은 시간표 포맷을 아래에 올려봅니다.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또한 변형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냥 참고 삼아서 제가 쓰는 양식을 올리는 것입니다.

 

한달 단위, 계절 단위로도 필요합니다. 1년 치 스케줄표를 보노라면, 자신이 속해 있는 전문영역의 업무가 언제쯤 몰릴 것인지에 대한 계산이 나올 것입니다. 그러면 그 기간은 비교적 업무량을 늘이고, 대신 다른 기간에 평상시부터 하고 싶었던 다른 일들을 배정하면서 파도를 거르시지 않고 탈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어떻게 쉴 것인가’ 입니다. 그냥 늦잠을 자고, 가만히 있는 것이 쉬는 것의 모두는 아닙니다. 탤런트뱅크과 인연을 맺고 있는 전문가들은 대개 치열한 일생을 살아오셨고, 그러다보니 정작 쉴 수 있는 시간에 제대로 쉴 줄 모르는 일들이 많습니다.

 

쉰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 본다면 ‘생존을 위한 작업이 아닌 다른 일을 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쉬는 날 평상시보다 조금 힘든 육체노동을 한다던지, 가고 싶었던 곳을 여행하는 등 뭔가 색다른 일을 해본다면 만족은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유일

정부지원사업, 해외투자유치, 콘텐츠 전문가

現) 탤런트뱅크 전문가
前) 다산네트웍스 고문
前) 월트디즈니 TV 이사

‘전문가로 살기’는 탤런트뱅크 소속 전문가가 직접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겪은 경험을 정리한 글입니다. 탤런트뱅크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싶으시다면 ‘전문가로 살기’ 시리즈를 참고해주세요. 탤런트뱅크는 전문가님들께서 마음껏 기량을 펼치실 수많은 프로젝트 의뢰를 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님과 어울리는 프로젝트를 찾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
탤런트뱅크 프로젝트
기업의 비즈니스 고민,
검증된 전문가가 해결합니다.
프로젝트 의뢰
최신글
신규 사업의 A to Z가 궁금했는데, 1시간의 전화 자문으로 유레카를 외쳤습니다. 자문을 의뢰한 기업은 대기업 계열사로 현재 새로운 시장 진입 전략 수립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해당 기업의 담당자 분은 시장 조사를 진행하던 중에 관련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고자 탤런트뱅크를 찾았고 적합한 전문가를 검색한 후 전화 자문을 신청하였습니다. 기업 담당자 분이 전문가에게 자문을 요청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확장해가는 사업 규모만큼  그에 걸 맞는 인재 확장이 필요합니다.   책임이 막중한 자리인 만큼 기업 임원 채용은 신뢰도 있는 헤드헌팅 업체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레퍼런스 체크와 면접 만으로는 인재를 찾기 어려울 때도 있는데요. 그래서 탤런트뱅크에서는 전문가 프로젝트를 진행한 기업이 전문가를 임원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인재 추천 의뢰 기업은 탤런트뱅크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던 …
“해외 완성차기업으로부터 ESG 리포트 요청을 받았으나 제출을 못하고 있었는데, ESG 지식을 습득하고 리포트 요청 취지를 이해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의뢰 기업은 경기도에 위치한 차량용 트랜스미션, 샤프트 등 자동차 부품을 정밀 가공하는 제조 기업입니다. 해당 기업은 해외 모 완성차 기업으로부터 ESG 리포트 요청을 받았지만 당시 대기업이 아닌 국내 중소기업 다수가 그렇듯, 아직 ESG 내용에 …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