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탤런트뱅크 전문가 Talk는 수많은 초기 창업 스타트업과 중소 제조기업에 꼭 필요한 정부지원사업 및 R&D과제 수주를 책임지고 계시는 심우진 정부지원사업 전문가와의 대화입니다. 사업 수행 능력을 갖췄더라도 사업계획서를 제대로 작성하지 못한다면 합격과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합격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는 무엇이 달라야 하는지, 그리고 왜 전문가를 찾아야 하는지 들어보았습니다.
탤런트뱅크 심우진 전문가 (사진 제공= 탤런트뱅크)
현재 직장과 직무를 말씀 부탁드립니다.
삼성전자 구매전략팀·전략마케팅팀, 한국과학창의재단 전략성과팀 등에서의 18년 직장 커리어를 바탕으로 2019년 장량경영기획을 창업하여 대표로 5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정부지원사업계획서, R&D계획서 작성이 주요 사업입니다. 또한 목원대학교 마케팅빅데이터학과에서 조사방법론과 통계자료분석 과목을 겸임교수로, 한국표준협회에서 재직자 대상 엑셀 활용 기초통계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전문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계실까요.
주로 초기 창업 스타트업이나 중소 제조기업이 정부지원사업이나 R&D과제에 선정될 수 있도록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일을 돕고 있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컨설팅이라기보다는 대표님의 구상을 정리하여 기획하고 문서로 표현하는 일에 가깝습니다. 처음 작성할 때는 해당 기업이 무슨 일을 하는지부터 파악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갑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이후부터는 고객사의 사업모델과 장단점, 전략 등에 대한 지식이 대표님의 눈높이 수준까지 올라오고, 전반적인 사업 기획을 함께할 수 있게 됩니다.
한 번 고객으로 인연을 맺으면 오랫동안 함께 합니다. 3년 이상 지속적으로 일을 도와드리는 기업으로는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의 ‘호치’캐릭터로 유명한 드림컴어스, 스마트 축사 솔루션 스타트업 이웨이브, 패션 디자인기업 The 4D lab 등이 있습니다.
왜 많은 초기 스타트업들이 정부지원사업 도전에 어려움을 겪을까요.
창업하여 성공한 대표님들의 공통점은 ‘추진력과 실행력’입니다. 치밀하게 기획하고 계획에 따라 실행에 옮기는 것은 창업기업의 대표들에게 익숙한 경영 방법이 아닙니다.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따라 계획은 어차피 계속 바뀌기 마련이어서 어제 세운 계획은 내일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정부지원사업이나 R&D과제를 지원할 때는 기관에서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라고 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평가위원 또한 실행보다는 기획에 익숙한 사람들입니다.
기술과 사업모델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사업계획서를 잘 쓰지 못하여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희망하는 기업에 전문가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좋은 기술과 사업모델을 보유하였으나 사업계획서를 잘 쓰지 못하여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지 않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낭비입니다. ‘실행 천재’ 초기 창업 기업가들은 개발이나 마케팅과 같은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고, 사업계획서 작성은 저 같은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여러모로 합리적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수많은 기업을 도와주며 성공과 실패 사례를 봐 왔고, 연간 십여 차례 이상 정부과제의 심사평가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정부과제에 합격할 수 있는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비전문가인 직원을 뽑아서 교육하고 성과를 내게 하는 것보다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시간, 비용, 성과 수준 측면에서 우월한 전략임은 너무나 명백합니다.
왜 떨어졌는지 탈락 사유를 모른다면 계속해서 헤맬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그동안 보셨을 때 탈락하는 정부지원사업계획서의 특징이 있을까요.
사람이 의외로 본인 스스로를 잘 알지 못하듯, 기업의 장단점 또한 대표가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 회사에 대한 객관적인 장단점 파악을 잘못하면 탈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모자라는 역량은 솔직하게 밝히고 이에 대한 보완 방안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느 기업이든 약점은 존재합니다. 이걸 회피하고 숨기는 전략은 성공하지 못합니다. 평가위원들이 매의 눈으로 그 부분만 집중 공략합니다.
정부지원사업계획서 작성에 있어 전문가님만의 팁이나 노하우를 전수해 주신다면.
우리 회사가 ‘훌륭하다’는 식의 작성보다는, 이 과제와 ‘적합하다’는 식의 서술이어야 합니다. 모든 과제는 그 취지와 목적이 있는데,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출제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답안을 쓰면, 그 답안이 아무리 훌륭해도 선정될 수 없습니다. 과제의 공고문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이 작성 전에 선행되어야 합니다.
Chat GPT 등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이를 활용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AI 기술 활용은 좋은 일이고 저도 유용하게 활용합니다만, 이를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합니다. 이 사업계획서를 대표자가 진정성 있게 고민하여 쓴 것인지 AI tool로 복사-붙여넣기 한 것인지 심사평가위원들 눈에는 다 보입니다. AI tool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참조는 하되, 문장은 스스로 만들어 넣어야 합니다.
전문가님은 왜 탤런트뱅크를 선택하셨을까요. 그리고 자문이 필요한 기업 및 개인 고객은 왜 탤런트뱅크를 선택해야 할까요.
탤런트뱅크는 저의 여러 업무 중 홍보, 고객사 발굴, 계약, 단가협상, 프로젝트 관리 등을 대행해 줍니다. 제가 고객사에 ‘본업과 실행에 집중하시고 사업계획서 작성과 같은 업무는 외주를 주는 것이 효율적이다’라고 설득하듯, 전문가들도 자기 분야의 전문성에 집중하여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이외의 업무들은 아웃소싱하시는 것이 현명합니다.
탤런트뱅크는 전문가 활용 검증 시스템과 노하우가 누적 구축되어 있습니다. 역량이 부족한 전문가를 파견한다면 고객사의 신뢰를 잃게 되므로, 기업의 니즈와 정확히 일치하는 전문가를 매칭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일에만 집중하는 기업입니다. 이 사업모델을 이해한다면 탤런트뱅크를 활용하는 것이 왜 이익인지 역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전문가님의 목표, 계획이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다양한 사업모델을 갖기보다는 정부지원사업계획서, R&D계획서 작성 한우물을 계속 팔 예정입니다. 보람 있고 제가 잘할 수 있는 일이며 업의 특성상 작성 건수가 많아질수록 역량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는 더 많은 고객을 다양한 방식으로 도와드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실행할 예정입니다.
[약력]
– 주요 전문가 수행 업무 : 정부지원사업계획서, R&D계획서 작성
– 주요 전문가 활동 경력 : 한국표준협회 전문위원,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창업패키지 전담멘토 등
– 주요 회사 및 사업 경력 : 前 삼성전자 전략마케팅팀 과장, 前 홈스토리생활 데이터마케팅 실장, 現 장량경영기획 대표, 現 목원대학교 마케팅빅데이터학과 겸임교수 등